프로젝트 내보내기¶
왜 내보내나요?¶
원래, Godot는 프로젝트를 내보내는 수단이 없었습니다. 개발자는 적절한 바이너리를 컴파일하고 각 플랫폼으로 패키지를 수동으로 만들었습니다.
더 많은 개발자가 (그리고 심지어 비프로그래머까지) Godot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우리 회사가 동시에 더 많은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이것이 병목 현상인 것이 분명해 졌습니다.
PC에서¶
Godot로 PC에서 게임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것은 비교적 쉽습니다. Godot 바이너리를 project.godot
파일의 형태로 같은 디렉토리에 드롭하고,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압축하면 끝입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개발자들이 이 방식을 원하지 않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첫 째로 많은 파일을 배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개발자들은 호기심 많은 사용자가 게임이 만들어진 방법을 알아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다른 개발자들이 게임이 잘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개발자가 특별히 컴파일된 바이너리를 선호하기 때문인데, 크기 면에서 더 작지만 더 많이 최적화되어 있으면서, 편집기와 디버거같은 도구들을 갖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침내, Godot는 추가 패키지 파일로 DLC를 만드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시스템을 갖고 있습니다.
모바일에서¶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같은 시나리오는 좀 더 나쁩니다. 이 기기로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 각 플랫폼을 위한 바이너리가 지어지고, 네이티브 프로젝트에 게임 데이터와 함께 추가됩니다.
이것은 개발자가 각 플랫폼의 SDK에 익숙해져야 내보낼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각 SDK를 배우는 것을 항상 권장하는 반면, 바람직하지 않은 시간에 SDK를 강제 실행하는 것은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에는 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기기들은 실행하기 위한 각기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선호합니다. 주요 예시로 텍스처 압축이 있습니다. 모든 PC 하드웨어는 S3TC (BC) 압축을 사용하고 10년 이상 표준화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는 텍스처 압축에 PVRTC (iOS)나 ETC (Android)와 같이 다른 형식을 사용합니다.
명령줄에서 내보내기¶
개발에 있어, 빌드를 자동화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그리고 Godot은 명령줄 매개 변수``--export``와 --export-debug
를 사용하여 이를 지원합니다. 명령줄에서 내보내려면 여전히 내보내기 매개 변수를 정의하기 위한 내보내기 프리셋이 필요합니다. 명령의 기본 호출은 다음과 같습니다:
godot --export "Windows Desktop" some_name
"Windows Desktop"이라는 프리셋이 있으며 템플릿을 찾을 수 있다고 가정하면, 이것은 some_name.exe
로 내보냅니다. 출력 경로는 프로젝트 경로 또는 절대 경로를 기준으로 합니다; 명령이 호출 된 디렉토리를 따르지 않습니다.
You can also configure it to export only the PCK or ZIP file, allowing
a single export to be used with multiple Godot executables.
This takes place if the target name ends with .pck
or .zip
.
때로는 --export
플래그와 --path
플래그를 결합하거나, 자동화된 내보내기를 위해 전용 내보내기 프리셋을 만드는 것이 유용합니다:
godot --path path/to/project --export "pck" game_name.pck
PCK versus ZIP pack file formats¶
Each format has its upsides and downsides. PCK is the default and recommended format for most use cases, but you may want to use a ZIP archive instead depending on your needs.
PCK format:
- Uncompressed format. Larger file size, but faster to read/write.
- Not readable and writable using tools normally present on the user's operating system, even though there are third-party tools to extract and create PCK files.
ZIP format:
- Compressed format. Smaller file size, but slower to read/write.
- Readable and writable using tools normally present on the user's operating system. This can be useful to make modding easier (see also 패키지, 패치, 모드 내보내기).